해양쓰레기 없는 ‘전남 블루오션’<1>
전남에 쏟아지는 해양쓰레기
양식어업 증가·외국 반입 매년 증가
지난해 수거·처리량 2만4000t 그쳐
해양 오염·수산물 질 저하로 이어져
수거 국비 지원 늘리고 정화 노력을
광주일보는 해양환경공단과 함께 전남 해역, 해안, 항·포구 등을 뒤덮고 있는 해양쓰레기 처리 문제를 심층 분석한다.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수 결정으로 바다 환경에 대한 전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해양쓰레기의 처리를 위한 궁극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광주일보는 전남 해양쓰레기의 실태, 바다의 변화를 실감하는 어민들의 우려,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한 제안 등의 주제로 3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지난 4월 23일 목포의 한 가정집에서 생아귀를 해체하는 동영상 하나가 인터넷, 페이스북 등 SNS를 달궜다. 이 아귀는 살아 있는 상태였지만, 요리를 위해 배를 가르는 순간 악취가 진동하며 위장에서 500ml 패트병 하나가 튀어나왔다. 페트병을 먹은 아귀는 먹지도 싸지도 못한 상태로 위장이 썩을 때까지 괴롭게 살아있다가 그물에 걸려든 것이다.
그나마 패트병은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 알갱이들은 어류, 패류, 해조류 등에 있다가 인체에 들어온 뒤 축적된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은 더 높다. 양식어업의 증가, 해수 흐름에 의한 중국 등 외국 쓰레기의 반입, 기후 변화 등의 원인으로 해양쓰레기가 갈수록 증가하면서 해양수산부, 전남도에서도 전전긍긍하고 있다.
해양쓰레기를 모두 수거·처리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데다 쓰레기 발생 자체를 차단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단 쓰레기가 해양, 갯벌 등으로 유입되거나 해안, 항·포구 등에 쌓이게 되면 개별 어촌이나 지자체에서 이를 한꺼번에 수거·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제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2019~2023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간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8만4,106t이며, 이 가운데 해상에서 5만444t, 육상에서 3만3662t이 유입됐다.
해상 기인 쓰레기 가운데 어망어구 유실량이 3만8,105t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양식장 스티로폼 부자(6,462t), 항만 유입량(5,366t)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존하는 해양쓰레기는 모두 15만7,000t으로 추정된다.
전남도의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평균 2만6,713t으로, 이 가운데 해상 1만3,694t(51%), 외국 1만2,540t(47%), 육상 479t(2%) 등에서 기인하고 있다. 현존하는 해양쓰레기는 약 8만7,482t으로 추정되며, 6만5,817t(75.3%)이 해저, 갯벌 등에 침적돼 있고, 2만1,370t(24.4%)가 해안에 방치돼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95t(0.3%)은 해상에 떠다니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남도는 지난 2017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 용역을 통해 이 같은 수치를 밝혀냈다.
수산물 생산량이 전국 1위이면서 풍부한 해양자원을 가진 전남도는 전복, 다시마, 미역, 김, 해삼, 돔, 우럭 등 양식어장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관련 폐어구 등과 중국 등에서 밀려오는 쓰레기 유입량도 꾸준히 늘고 있다. 이들 해양쓰레기는 전남의 리아스식 해안(6,753km)과 곳곳의 섬(2,615개) 여기저기에 흩어져 축적되면서 해양 오염, 미관 훼손, 수산물 질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2015년 1만5,735t을 시작으로 2017년 1만9,657t, 2018년 3만2,618t 등 매년 수거량을 늘려가고 있으나 역부족인 실정이다. 수거 및 처리 비용은 매년 증가하지만 열악한 지방 재정으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는데다 발생 원인이 다양하고, 광역 이동성으로 인해 책임 소재 역시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전남도는 해양쓰레기의 경우 재원 및 지원 비율을 기존 균특회계 50%에서 국비 70%로 변경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지역주민, 어업인들의 자발적인 정화 노력이 더해져야 효과가 빛을 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남도는 해양쓰레기 발생량을 2020년 2만4,000t에서 2022년 2만1,000t, 2024년 1만9,000t으로 감축하면서 수거·처리량은 2020년 2만4,000t에서 2024년 3만3,000t으로 확대해 해양쓰레기를 줄여나갈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매년 증가하는 해양쓰레기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이 시급하며, 이는 수거·처리에 있어 국비 지원을 늘리고, 쓰레기 발생지에서부터 철저한 관리를 통해 해양으로의 유입을 막아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윤현석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도 올 10대 고품질 브랜드쌀 선정 (0) | 2021.05.26 |
---|---|
넘쳐나는 해양쓰레기에 피조개·새조개가 사라진다 (0) | 2021.05.20 |
5월 푸르른 신록찾아 전남으로 코로나 안심여행 떠나요~ (0) | 2021.05.05 |
전남도, 동부권 통합청사 10월 착공 2023년 5월 완공 (0) | 2021.05.04 |
‘관광의 보고’ 섬 섬 섬 … 코로나 시대 호남 희망의 빛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