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다인기자

곳곳 아픈 역사의 흔적…일제 잔재 청산은 아직

by 광주일보 2024. 3. 11.
728x90
반응형

영화 파묘 인기몰이로 본 광주·전남 친일 잔재는
신사계단·교가·비석·군사시설에
친일 인사가 쓴 현판도 남아
광주 65개·전남 136개 잔재
“철거해야” vs “교육자료 활용”
청산 놓고 지자체들 의견 엇갈려

영화 파묘의 한 장면.

민족정기를 말살했던 일제의 만행을 다룬 영화 ‘파묘’가 관객 750만명을 동원하는 등 흥행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식민잔재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식민잔재를 둘러싸고 청산론과 아픈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교육 자산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10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에 남아있는 식민잔재는 총 201개(광주 65개, 전남 136개)에 달했다.

광주에 있는 식민 잔재물은 현판 6개, 비석 7개, 군사시설 15개, 통치시설 14개, 산업시설 2개, 교가 18개, 기타 3개 등이다.

대부분 친일잔재에는 단죄비 등이 세워지는 조치가 있었지만 청산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높아지고 있다.

 

10일 광주시 남구 광주공원 내 친일인물 윤웅렬, 이근호, 홍난유의 선정비가 눕혀져 있다.

광주일보 취재진이 광주지역 잔재물을 살펴본 결과 일상 곳곳에서 식민통치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광주시 남구 구동 광주공원 계단에는 ‘일제 식민통치 잔재물인 광주신사 계단입니다’라는 표식이 돼 있었다.

또 남구 양림동 사직공원 방공호 앞에는 ‘광주 도심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을 미국의 공습으로부터 대피시키기 위해 1940년대 설치된 방공호’라는 글과 함께 일제 식민지 잔재물을 알리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었다. 사직공원 내 양파정에도 일제 식민통치 협력자인 정봉현, 여규형, 남기윤, 정윤수 4명의 친일인사가 쓴 현판이 새겨져 있음을 알리고 있었다.

광주시는 2019년부터 광주 곳곳에 남아있는 식민잔재에 친일행적을 알리는 단죄문을 설치했다.

남구 사직공원 내 양파정에 일제 식민통치 협력자 정봉현, 여규형, 남기윤, 정윤수의 현판이 있음을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돼 있다.

다만 이 같은 유형문화재를 제외하고 교가(18개 학교)와 친일군인 김백일의 이름을 딴 ‘백일’ 관련 명칭 등 무형문화재와 사적 재산에는 친일 행적을 알릴 수 없다.

전남지역 식민잔재는 총 136개(목포6, 여수10, 순천11, 나주3, 광양7, 담양3, 곡성5, 구례3, 고흥6, 보성1, 화순13, 장흥6, 강진1, 해남6, 영암5, 무안15, 함평2, 영광3, 장성24, 완도1, 진도3, 신안2)로 광주지역 잔재물의 2배에 달했다.

유형별로는 신사 5개와 석물 80개, 군사시설 18개, 건축물 1개, 기타 7개, 친일인사 관련 잔재물 25개 등이다.

신사는 일본의 신토신앙에 근거해 만들어진 종교시설로 전남에는 고흥 소록도 등지에 남아있다. 석물은 전쟁에서 사망한 군인들을 기리기 위해 만든 시설로, 일본의 충혼비 양식을 계승해 만든 경우에 해당한다. 해남에 있는 기미독립선언기념비의 경우 기단과 비석 모두 일제강점기 양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건축물로는 나주 구진포 터널이 있다. 1914년 일제가 조선 수탈을 위해 호남선철도를 개통하면서 만든 터널로, 강제징용으로 끌려가는 가족을 배웅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식민잔재 청산여부를 두고 지자체에서도 엇갈린 판단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27일 전남 식민잔재 청산 추진 용역결과 설명회에서 목포와 순천, 담양의 경우 조사된 식민잔재물을 최대한 철거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고흥군의 경우 ‘소록도 신사참배 건물은 도 지정 문화재이기도 하지만 식민잔재이기 때문에 이중적인 부분이 있어 철거해야 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하지만 교육자료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내는 관계자들도 있었다. 곡성군 문화원장은 “일본잔재와 일본식은 구별이 필요하다”면서 “예시로 곡성 종방마을은 일본 물건을 납품한 일신방직 이름의 영향을 받긴 했지만 단순히 역사 깊은 마을의 이름을 일신방직 이름을 땄다고 바꾸는 것은 무리”라고 강조했다.

무안군 문화원 관계자 역시 “교육이 곧 식민청산이라고 생각한다. 잔존 가치로서 가능성을 갖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역사 관련 시민단체는 유·무형을 나눠 교육적 활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관계자는 “문학상 등 친일의 흔적이 남은 무형문화재는 없애는게 마땅하지만 흑역사도 역사이니만큼 반복되지 않도록 교육 자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뒤틀린 ‘남성 갑질’ 여전…편견·멸시에 우는 여성노동자

광주·전남지역 여성 노동자들이 고질적인 편견과 차별·멸시를 받으며 생계를 위해 일터에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광주지역 일터에는 여전히 남성중심적인 사고와 고정

kwangju.co.kr

 

광주인권사무소,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전시회 개최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가 기념전시회를 열었다. 8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소장 최혜령)에 따르면 오는 29일까지 광주지하철 김대중컨벤션센터역(마륵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