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코로나 19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계 정상화를 위해 하반기 지원을 확대한다.
문체부는 생계지원, 일자리 지원, 소비 촉진 등을 위해 3차 추경 예산 1569억 원을 지원한다고 8일 밝혔다. 이 같은 지원액은 문체부 3차 추경 예산의 4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가운데 일자리 지원은 현장인력과 온라인·비대면 환경 대응 인력을 함께 지원해 안정적인 창작활동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생계 지원을 위한 대표사업인 ‘예술인 창작준비금’은 현장 수요가 높은 점을 감안해 99억 원을 추가로 확보해 하반기에 232억 원(총 7725명)을 지원한다. 13일부터 31일까지 창작준비금 지원 누리집(www.kawfartist.net)에서 신청 가능하며 심사를 거쳐 9월 중 지급할 계획이다.
공연예술계를 위해서는 창작·실연, 기획·행정, 무대기술, 공연장 방역 등 현장 인력 일자리 3500개를 지원(319억 원)한다. 연극·뮤지컬, 클래식 음악, 국악, 무용 등 공연 분야별 일자리를 지원하되 예산집행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를 마련한다.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전국 228개 지자체에서 예술인 약 8500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759억 원)한다. 예술작품 설치, 문화공간 조성, 도시재생, 미디어·온라인 참여 등 다양한 유형의 예술 작업을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비대면·온라인 환경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한 사업도 추진한다.
예술인의 온라인·미디어 진입을 돕기 위한 예술활동에 149억 원을 배정, 2720명에게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공연대본·미술도록 등 예술자료 수집 및 디지털화 33억 원(310명), 지역문학관 소장유물 디지털화 14억 원, 문화예술교육 자원조사에 115억 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문체부는 공연 관람료 159억 원(180만 장), 전시 관람료 52억 원(160만 장)을 지원해 예술 소비도 촉진할 계획이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박성천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을 낳았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비운의 여인들 (0) | 2020.07.11 |
---|---|
현판·비문 무슨 뜻일까? (0) | 2020.07.10 |
디지털 사랑 시대, 결혼의 종말을 고하다 (0) | 2020.07.04 |
제8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 본격 활동 (0) | 2020.07.02 |
‘광주정신, 대동세상’ 세계에 알린다 (0) | 202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