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현석기자

전남 농수산업 경쟁력 갈수록 떨어진다

by 광주일보 2022. 7. 6.
728x90
반응형

농어업인구 10년 새 12만명 줄어
경지면적도 크게 감소
가공·수출 비중 여전히 낮아
귀농·귀어 획기적 지원책 시급

농촌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전남이 가진 경쟁력의 근원이자 식량 안보의 보루인 전남 농어업의 경쟁력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농어업 인구가 10년 전에 비해 12만명이 감소하고 고령화도 급진전되고 있어 외국인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난관에 봉착해 있기 때문이다. 지역 농어촌 시스템이 여전히 생산에만 치우쳐 있어 부가가치가 낮고, 도시로부터의 귀농·귀어도 감소한 인구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어서 새로운 활력소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농업인구는 지난 2011년 37만9767명(농가 수 16만7086호)에서 지난 2020년 28만60명(13만6972호)로, 어업인구는 5만4975명(어가 수 2만1818호)에서 3만5534명(1만5635호)로 각각 9만9707명, 1만9441명 등 모두 11만9148명이 급감했다. 농어업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율도 절반을 넘어서 60%에 육박하고 있다. 2021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2021년 전남도내 농업인구와 어업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는 각각 53.1%, 36.24%에 이르고 있다. 반면 30대 미만 청년 농어업 종사자는 각각 9.16%, 11.69%에 불과했다.

서정원 광주전남연구원 박사는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의 자료를 자체 분석한 결과 농어업 고령인구 비율은 65.9%로 타 지역을 압도하고 있다”며 “인구가 급감하고 고령인구 비중이 높아 농어업이라는 산업 자체가 붕괴될 우려가 높은데도 대책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전남 농어업의 낮은 부가가치도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농가소득은 2011년 3043만원에서 2020년 4368만원으로 상승했으나 여전히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어가소득은 지난 2010년 3570만원에서 2020년 5319만원으로 비교적 상승폭이 컸지만, 어가부채 역시 세대당 3564만원에서 6390만원으로 2배 가까이 급증했다. 어가소득은 매년 편차가 심하고 양식어업 이외 어선어업, 맨손어업 등은 업종별로 격차도 컸다.

특히 서해안과 남해안에 접해있어 어패류, 해조류 등이 풍부한 전남은 어업 생산량은 전국의 절반을 넘어섰지만, 10년 동안 지역 내에서 이들 수산물이 가공·수출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어업 생산량은 2011년 전국의 40%에서 2021년 57%로 크게 늘었지만 생산액은 29%에서 38%, 수출액은 6.1%에서 12.0%로 상승하는데 그쳤다.

농어업 인구의 급감 속에 곳곳에 빈집이 양산되면서 소멸되고 있는 농어촌의 공동화 현상도 이미 심각한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민들의 귀농·귀어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과 함께 농어촌의 기능과 역할을 제고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김진이 광주전남연구원 농어촌활력연구실장은 “기본적으로 농어촌 지역민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것이 농어촌 소멸을 제어할 수 있는 기본 요건”이라며 “농어촌을 생산·가공·관광·문화 공간으로 혁신해 그 속에서 도시민의 이주, 일자리 창출 등을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광주일보

광주광역시, 전남·전북 지역 신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분야별 호남권 소식 수록

kwangju.co.kr

 

 

시대 변화 못 따라가는 농·어업 환경…젊은이들 떠난다

농업·농촌, 어업을 살릴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정책을 현장에서는 체감하기가 쉽지 않다. 10년이 지나도 농촌과 어촌은 크게 변화가 느껴지지 않는다. 젊은이들이 빠져나간 농·어촌은 갈수록 활

kwangju.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