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송정역8

“광주역~송정역 철로 지하화…공원 부지 활용을” 광주선 푸른길더하기 시민회의 국내외 철도 부지 활용사례 포럼 뉴욕·파리 공원화 사례 공유 폐쇄땐 트램 활성화 방안 주장도 광주 원도심을 가로지르는 ‘광주역~광주송정역’ 철로를 지하화 하고 공원부지로 활용하자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철로부지를 폐쇄할 경우 트램을 이용한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광주지역 환경단체와 철로변 주민 등이 중심으로 결성한 ‘광주선 푸른길더하기 시민회의’는 지난달 28일 광주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광주선 푸른길을 위한 국내외 철도 부지 활용사례와 시사’를 주제로 두번째 월례 포럼을 개최했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공원부지로 변경한 해외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광주선의 방향을 제시해보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정성구 ‘도시콘텐츠연구소 U.. 2022. 10. 4.
송정역세권 ‘광주 대표상권’ 도약 시동 광산구 ‘상권르네상스 사업’ 행정 절차 완료, 추진 본격화 광산로~1913시장 ‘1시간 맛거리’ 조성 5년간 80억 투입 광주 광산구가 광주송정역세권의 전성기를 열 상권르네상스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상권 환경 개선과 특색 있는 콘텐츠 확보를 두 축으로 새로운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11일 광산구에 따르면 ‘광주송정역세권 상권르네상스 사업’의 모든 사전 행정 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 광산로와 1913송정역시장을 잇는 ‘광주송정역 1시간 맛거리’ 조성 사업을 본격화 한다. 지난해 12월 공모에 선정된 광산구는 지난 1월부터 2개월간 중기부 현장진단, 중기부·광주시 협의를 비롯해 상인과 주민의 의견수렴을 위한 사업설명회와 광산구의회 의견 청취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왔다. 광산로와 191.. 2022. 5. 12.
광주 송정역 주차빌딩 이르면 연말 착공 광주 송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과 연계되면서 추진이 지지부진했던 광주 송정역 주차빌딩이 이르면 올해 말 착공된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광주본부는 광주 송정역 주차빌딩 신축사업 설계 계획이 완료돼 광산구에 인허가절차를 밟고 있어 이르면 올해 12월께 착공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6일 밝혔다. 송정역 주차빌딩 신축은 총 370억원 예산으로 현재 1주차장 부지 1만1963㎡에 7층 1600면(연면적 4만2천500㎡) 규모로 추진된다. 오는 9월 인허가 완료, 12월 착공 등 일정 차질이 없으면 2022년 4월께 준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송정역은 이용객은 꾸준히 늘어 하루 최대 3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주차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주차공간 추가 마련이 꾸준히 추진됐지만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 2020. 8. 9.
‘인적 끊긴 거리’ 광주 상권 유동인구 17%↓ 광주 11곳·전남 16곳 조사 코로나19에 운수업 직격타 코로나19 국내 확산 이후 광주·전남 주요 상권의 유동인구가 17%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로플랫에 의뢰해 광주·전남 주요 상권 27곳의 3월7일 기준 유동인구를 집계해보니 두 달 여 전인 1월4일보다 광주 17.2%, 전남 17% 감소했다. 분석 대상지역은 금남로, 충장로, 전남대학교, 상무지구, 수완지구, 송정동, 첨단1·2지구, 양산지구, 봉선동, 월산동, 금호지구 등 광주 11곳과 전남도청, 순천왕지지구, 나주 구시가지, 목포하당신도심, 여수원도심, 순천법원 등 전남 16곳이었다. 유동인구는 와이파이(무선 인터넷) 접속 기록을 분석해 집계했다. 유동인구 감소는 운수업계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광주송정역에서.. 2020. 6.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