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빛가람혁신도시 인구는 부산보다 4배 넘게 많지만 편의시설 수는 부산의 4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조성률은 79%로, 전국에서 3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2020년 상반기 혁신도시 정주환경 통계조사’ 결과에 담겼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10개 혁신도시에 대한 가족동반 이주율·연령별 주민등록인구 등 정주인구 현황과 공동주택 조성 비율, 학교 개교, 어린이집 개원, 편의시설 현황 등 정주여건을 조사해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6월 말) 기준 나주 혁신도시에는 16개 기관·공기업이 이전을 마쳤다. 기관 이전에 따라 유입된 임직원 수는 7714명으로, 10개 혁신도시 이전 임직원 수의 17.5%에 달한다.
나주 혁신도시에 주민등록을 마친 인구는 3만3525명으로, 전체 혁신도시 주민등록인구의 15.7% 비중을 차지했다.
나주 혁신도시 주민의 평균 연령은 32.6세로 집계됐다. 10개 도시 평균 연령(33.2세) 보다 1세 가량 낮았다.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도시는 전북(30.9세)이었고 충북(31.1세), 경남(32세), 경북(32.2세), 광주·전남(32.6세), 강원(33.9세), 울산(34세), 부산(34.1세), 제주(35.3세), 대구(36세) 순으로 많았다.
연령대별 인구를 보면 나주 혁신도시에는 30~40대가 41.7%를 차지했다. 10개 혁신도시도 평균적으로 30~40대가 40% 넘는 비중을 차지한 것과 마찬가지다.
30대가 7393명으로 가장 많고 40대(6588명), 9세 이하(5882명), 20대(3973명), 만 10~19세(3922명), 만 50~59세(3197명), 만 60~69세(1704명), 만 70세 이상(866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말 기준 나주 혁신도시에 조성된 공동주택 수는 1만4156호로, 계획 대비 79%의 조성률을 보였다.
대구, 울산, 부산, 제주는 이미 공동주택 조성을 계획 대비 100% 달성했고, 전북(94.7%)과 경북(91.7%)는 90%대 조성률을 나타냈다.
나주 혁신도시는 강원(74.5%), 충북(77.5%)에 이어 전국 10개 도시 가운데 세 번째로 조성률이 낮았다.
나주 혁신도시는 조성 당시 10개의 학교(초 5곳·중 3곳·고 2곳)를 세우기로 계획했는데 올해까지 9개의 학교가 문을 연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까지 초등학교 1곳이 더 조성되면서 계획한 학교 수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나주 혁신도시에는 공립 3곳, 민간 37곳, 직장 8곳 등 총 48개의 어린이집이 들어섰다. 이는 계획했던 민간 어린이집 1곳을 미달한 수치다.
어린이집 조성 계획을 달성하지 못한 곳은 부산(25곳 중 22곳 완료)과 대구(21곳 중 19곳), 나주 등 3개 도시다.
국토부 측은 “민간 및 직장어린이집 설치계획은 민간사업자의 인·허가 접수일정에 따라 유동적”이라고 설명했다.
나주 혁신도시는 학교와 어린이집 계획을 다 채우지는 못했으나 학원 수는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곳에 들어선 학원은 128개로, 충북(57개), 대구(40개), 제주(1개) 등 3개 도시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
나주 혁신도시 외 경남(122개), 부산(101개), 강원(89개), 전북(78개), 경북(70개), 울산(62개) 순으로 학원이 많았다.
한편 주민등록인구가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나주 혁신도시에는 마트·편의점·병원 등 편의시설이 930개 조성된 것으로 집계됐다.
편의시설 수가 가장 많은 곳은 부산(2542개)으로, 주민등록인구(7498명)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편의시설 수는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나주 혁신도시에 조성된 편의시설을 업종별로 보면 음식점 640곳, 마트 및 편의점 64곳, 병(의)원 32곳, 은행 28곳, 문화시설 27곳 등으로 나타났다.
가족동반 이주율은 제주가 81.5%로 가장 높았고, 부산(77.5%), 전북(73.8%), 광주·전남(68.8%) 등 순이었다. 반면, 수도권에서 가까운 충북(46.9%), 강원(60.5%)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전 공공기관 직원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65.3%로 2017년 말 대비 7.2%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정부대전청사 이전 5년 뒤 이주율(62.1%)보다는 높고 10년 뒤 이주율(65.8%)보다는 약간 낮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한전, 2분기 영업이익 3898억원 … 2개 분기 연속 흑자
한국전력이 국제 연료가 하락의 영향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냈다. 한국전력은 13일 연결기준으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89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올해 1분기 4306억원 흑자에 이��
kwangju.co.kr
‘위드 코로나’ 시대…유통가, 하객 답례품·면역력 강화에 집중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비대면과 안전, 건강 등이 일상에 녹아든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체계가 견고해지면서 지역 유통가도 발 빠르게 진열을 재배치하고 있다.
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