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 손목을 쉴 새 없이 사용한다. 컴퓨터 업무부터 스마트폰 사용까지 각종 활동에 손목은 점점 지쳐가며 심지어 통증 및 저림까지 호소하게 된다. 무리한 손목 사용은 손목 터널 증후군이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손목을 통과하는 신경인 정중신경의 압박으로 정중신경이 지배하는 부위의 손가락 및 손바닥의 저림, 이상 감각, 감각 저하, 통증이 대표적인 증상인 신경 압박성 질환이다.
손가락과 손바닥에 저리거나 작열감, 찌르는 느낌, 조이는 느낌, 무감각을 느끼게 된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5배 정도 많으며 30~60세 사이에 주로 나타난다. 반복적으로 손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빈발하며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영향을 주기도 한다.
증상은 특히 야간에 더욱 심한데, 이는 수면 중에 손목이 굴곡 방향으로 꺾이기 쉽고 아픈 쪽으로 누웠을 때 압박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이다. 손목 터널 증후군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엄지 주변 근육이 위축되거나 약화될 수도 있다. 근위축이 온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손목 터널 증후군를 비증(痺證)으로 분류하고 있다. 비증은 풍한습열(風寒濕熱)의 사기가 근육, 뼈, 관절의 경락 흐름을 막아 통증과 움직임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막힌 기혈(氣血)의 움직임을 원활하게끔 풀어 주고 사기가 다시 침범하지 못하게 강화시켜 주는 치료를 할 수 있다.
6주에서 3개월 가량의 한방 보존적인 치료에 회복이 잘 되는 편이며, 손목이 중립을 지킬 수 있도록 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손목 터널 증후군이 진단된 경우에는 손목의 과도한 사용을 줄이고, 자세 교정과 손목 주변의 인대를 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증상은 경추 디스크, 흉곽출구 증후군, 주근관 증후군, 척골신경 마비와 비슷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한방 치료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손목 관절의 기혈이 잘 순환될 수 있도록 침 치료와 뜸 치료를 병행해 경락의 불균형을 조절한다. 침 치료 시에는 열결(列缺), 합곡(合谷), 내관內關) 및 심포경(心胞經)의 혈자리와 통증 및 저림이 있는 부위의 혈자리를 많이 사용한다.
뜸 치료는 관절 부위의 온열 자극을 통해 응체돼 있는 기를 순환할 수 있게 돕는 작용을 한다.
또 봉약침 요법은 소염 진통, 혈액 순환 촉진, 항균, 면역 조절 작용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손목 터널 증후군에도 유효한 효과가 있음이 여러 논문에 보고돼 있다. 또한 진통, 소염 및 진경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오공약침을 통해 손목 관절의 통증 및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더불어 사기로 막혀 있는 관절, 근육, 뼈의 흐름을 소통시킬 수 있는 약재를 사용해 통증과 증상을 경감시켜 준다. 작약감초탕, 계지복령환 등 다양한 처방들이 효과가 있음이 논문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환자의 체질·증상에 따라 다양한 한약 처방을 고려할 수 있다.
추나 요법도 효과가 좋다. 한의사가 손목 주변의 근육, 인대, 관절, 뼈와 같은 구조물의 변위를 파악해 진단한 뒤 뭉친 근육을 풀어 주고 이완시켜 주어 통증을 완화시키고 이완 강화 운동을 통해 재발되지 않도록 한다.
무엇보다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손목의 무리한 사용을 줄여야 한다. 컴퓨터 사용 시에 키보드나 마우스 받침대를 사용해 손목의 꺾임을 방지해야 한다. 작업 중에도 자주 손목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위아래로 스트레칭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증상이 온전히 회복될 때까지 일과 중, 수면 중에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도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된다.
'건강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리고 붓는 울퉁불퉁 푸른 혈관, 작은 신호 올때 조기 치료해야 (0) | 2020.07.06 |
---|---|
"벌어진 치아, 부자연스럽고 발음에도 문제" (0) | 2020.06.29 |
치과 치료는 감염·위생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 (0) | 2020.06.15 |
"불안장애, 방치하면 심각한 문제 야기” (0) | 2020.06.01 |
[건강 바로 알기-건강검진 미루지 말자] 기저질환 유무, 코로나19 치유 결정적 요소 (0) | 2020.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