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병호기자

업무대행사에 꼼짝없이 당한 분양사기…피해 눈덩이

by 광주일보 2020. 6. 16.
728x90
반응형

지산주택조합 피해자 87명까지 늘어…“조합측 책임져야” 분통
조합원 선정 과정 의혹도 제기…경찰, 전면수사 확대할지 주목

 

광주 동구 지산주택조합 아파트 분양사기와 관련, 피해자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특히 내 집 마련을 위해 모아놓았던 돈을 하루 아침에 날려버린 뒤 매일같이 조합 사무실을 찾아 호소하거나 항의하는 피해자들의 방문이 줄을 잇고 있다.

피해자들 사이에서는 조합이 위탁한 업무대행사를 믿고 아파트 계약금 등을 납입했다가 피해를 봤다는 점에서 조합측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기 피해자 100명 넘나=15일 광주동부경찰에 따르면 지산주택조합 사기사건과 관련, 지난 14일까지 고소장을 제출한 피해자는 총 87명으로 늘어났다. 지난 9일 27명의 무주택 서민들이 17억원의 계약금을 뜯겼다고 신고한 이후 11일 53명(40억원)으로 늘더니 이날까지 87명으로 급증했다. 이들이 추정한 피해 금액도 57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사건 발생 이후 혹시나 지산주택조합을 찾아 지정된 계좌로 제대로 계약금 납입이 이뤄졌는지 여부를 확인한 뒤, 경찰에 피해를 신고하는 주민들이 잇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조만간 피해자가 100명에 이를 것이라는 가능성도 점쳐진다.

15일에도 광주시 동구 지산동 지산주택조합 사무실은 피해 여부를 확인하려는 조합원들과 대책을 내놓으라며 조합을 찾아 항의하는 피해자들이 뒤섞이면서 북새통을 이뤘다. 조합원들의 거친 목소리가 사무실 입구에까지 들릴 정도로 높았다.

 

일부 주민들은 조합 계약서를 살피다 지정 계좌가 아닌, 업무대행사가 알려준 계좌로 입금한 사실을 확인하고서 부랴부랴 경찰서로 달려가는 모습도 눈에 띠었다.

피해자들은 “업무대행사가 내민 계약서 밑에 지정 계좌번호가 있더라도 다른 계좌 번호를 알려주면서 보내라고 하면 누가 의심하겠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 때문에 피해자들은 업무대행사뿐만 아니라 조합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업무대행사가 계약금 납입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는 지 꼼꼼히 살펴야 하는 책임을 소홀히 해 애꿎은 조합원 피해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부실한 조합원 관리도 문제=이번 사건을 계기로 주택조합의 부실한 조합원 선정 및 관리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날 조합을 찾은 한 주민은 “지난 2017년, 계약 과정에서 토지 소유자가 아닌데도, 토지를 가진 지주 몫으로 조합원 분양권을 넘겨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기존 계약금보다 3000만원 싸게 계약했다”며 피해 여부 확인을 요구했다.

자칫 사실 여부에 따라 조합원 선정 과정부터 부적절하게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찰의 지산주택조합에 대한 전면적인 수사로 확대될 지 주목된다.

조합측은 분양 사기 피해에다, 조합원 선정 과정의 부정 의혹마저 제기되면서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산주택조합장은 “조합원들 피해 여부를 전수 조사하고 있다”면서 “조만간 피해 여부와 규모를 전 조합원에게 통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동부경찰도 최근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피해 규모를 구체화하는 한편, 업무대행사 대표와 직원 등 3명의 행방을 쫓고 있다. 경찰은 해외 도피를 막기 위한 출국금지조치를 내린 상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지역주택조합 분양 대행사 중복분양 수십억 사기

광주의 한 지역주택조합아파트 분양대행사가 중복 계약으로 수십억원대 계약금을 받아 챙긴 뒤 잠적, 파문이 일고 있다. 내 집 마련을 위해 어렵게 모은 돈을 투자했다가 사기 피해를 당한 피해

kwangju.co.kr

 

‘수백억 투자 사기’ 3개월 지나 출국금지 신청이라니…

50대 여성 사채업자의 수백억 규모 투자 사기사건〈광주일보 6월11일자 6면〉과 관련, 경찰 수사가 진척을 보이지 못하면서 피해자들이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피해 사실을 신고한 지 3개월이 �

kwangju.co.kr

728x90
반응형